블로터닷넷의 도기자님, 정말 빠르시네요. 어제 제가 트위터에 짧은 글을 올렸습니다. 바로 도 기자님의 전화를 받았죠. ^^ 관련한 내용을 설명 드렸고, 물론 도 기자님이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있는 부분도 있었고, 그 내용이 합쳐져서 http://www.bloter.net/archives/23120, 바로 이 글이 네이버의 메인에 등장했는데 관련된 분들이 많은 관심을 보여주네요.
앞에서 계속 설명 드린 것처럼 아마존의 EC2는 인프라 클라우드 서비스 입니다. 윈도우, 리눅스, 기타 운영체제를 Self-Service Portal에서 선택하면 IP주소 할당, AMI(Amazon Machine Image)를 통해 운영체제 설치, 물론 이 Image에는 웹서버, 데이터베이스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바로 쓸 수 있는 가상서버 1대가 10~15분 안에 준비 되는 것이죠. 이건 사실 기존의 호스팅 서비스와 비교했을 때 굉장한 거죠. 콜센터와 전화 연결, 쉽지 않죠? 사이트에 정보 등록, 다시 전화 연결, 결제, 호스팅 회사의 서버 도입, 설치 등등 굉장히 번거로운 작업이 사라지는 것, Breakthrough Innovation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바로 아마존의 EC2 서비스가 북미 시장을 강타했고, 클라우드 컴퓨팅에 주목하게 한 사건이 되었죠. 그런데 아마존이 EC2 서비스를 국내에서 할까요? 안 하겠죠? 그 시장을 누가 차지할 것인가를 두고 IDC, 호스팅 업체 간 각축전이 시작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누가 선점효과를 차지할 것인가? 먼저 치고 나가는 회사, 그리고 마케팅을 잘 하는 회사가 고객의 마음에 클라우드 = LG데이콤? 스마일서브? 삼정데이터서비스? 코리아서버호스팅? 아니면 새로운 어떤 회사가 될 수 있겠죠.
그런데 문제는 EC2와 같이 Self-Service Portal, 자동화 및 프로비저닝,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갖추려면 많은 자원 (비용 포함)이 소요되는데, 그걸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소프트가 Dynamic Data Center toolkit for Hoster, Enterprise를 제공한다는 거죠. 그걸 잘 이용하신 거고요. 직접 하실 수도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파트너를 활용하실 수도 있는 거죠. 어때요?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 같지 않으신가요? 이미 많은 고객이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댓글을 달아 주세요
클라우드 관련 포스트 잘 보고 있습니다. : )
2010.01.15 04:38 [ ADDR : EDIT/ DEL : REPLY ]궁금한게 있는데요...
윈도우 애저 플랫폼을 개인?이나 소호사용자를 위해서 개발공간이나 테스트 계정을 제공 예정이 있는지요?
또 일반 웹호스팅 상품처럼 요금제를 선택 후 초과분에 한해서만(선택적으로..) 요금을 과금하는 방식도 제공할 예정인지도 궁금합니다 아니면 충전한 만큼만 사용하는 요금제라던지요......(요금제가 다양했으면 좋겠습니다.-_-)
안녕하세요, 네몽님. 글 고맙습니다.
2010.01.18 13:17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윈도 애저 플랫폼은 개인, 소호사용자가 당연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 애저는 개발은 로컬 PC에서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윈도 애저 플랫폼에 별도의 개발 공간이 제공되지는 않습니다.
로컬 PC에서 Visual Studio 2008에 윈도 애저 SDK를 설치해서, 개발 환경을 갖추는 방식을 취하시면 됩니다.
- 지금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개발이 완료되면 윈도 애저 플랫폼으로 게시하셔서 스테이징해보시고, 잘 구동되면 Production (운영) 환경으로 이관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운영 환경으로 이관된 이후에 과금이 되는 방식이고요.
과금방식은 요금제를 선택하는 방식이라기 보다는, 사용량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사용량에 따라 100원일수도, 1,000원일수도 10,000원이 될 수도 있는거죠. 물론 어느 정도 과금이 될 것인지는 포탈화면에서 사용자가 확인하실 수 있게 되어 있고요. 사용량을 제한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다만 과금에 대해서는 한국 서비스가 결정되면 별도로 다시 공지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 서비스를 검토해 보면서, 그리고 SPLA 파트너에 물어물어 보면서,.
2010.01.18 23:26 [ ADDR : EDIT/ DEL : REPLY ]가상화에서의 MSSQL 가격구조가, 현재 편법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SPLA 파너트사 담당자에도 따져 물으니 그렇게 보인다는..)
현재 호스팅사들이 제공하는 가격을 보면, CPU 당 라이선스 가격을
쿼드코어이면, CPU/코어갯수 이렇게 나눈 금액을 SQL 이용가격으로 제공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라이선스 정책이 분명 현재 CPU 당(또는 유저당)으로만 되어 있는데, 편법적으로 코어 갯수로 나눠버린것이죠...
이건 분명 불법 적인 서비스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상당한 고민을 했는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명시적으로(또는 암묵적 허가) 기준이
있기전에 임의적 판단에 의해서 서비스하는게 너무 꺼림직하네요... -_-;;
타사를 그대로 따르자니 그렇고,, CPU 가격(SPLA) 기준 그대로 하자니 타사에 비해 비싸고...
어떻게 보시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