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2022. 8. 25. 17:16

Hacker Rank는 개발자 인터뷰 및 채용 때 개발자 역량을 평가하는데 활용되는 플랫폼 입니다.
참고로, 골드만삭스가 개발자/엔지니어를 채용할 때 사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가입된 개발자 수가 150만명 정도인데, 그중에서 수십만명이 Coding challenge에 참여하여 실력을 겨뤘습니다. 
분야가 다양한데 Algorithms, Java, Data Structures, Mathematices, C++, Python, SQL, Ruby, AI 등 15개 도메인으로 평가가 이루어졌습니다.

 

어느 나라가 1위를 차지했을까요?

놀랍게도 1위는 중국, 2위 러시아, 3위 폴란드, 4위 스위스, 5위 헝가리 였고, 한국은 22위, 베트남은 23위, 미국 28위, 인도가 31위에 랭크되었습니다. 미국, 인도 개발자의 비중이 가장 높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해를 본 것으로 분석되기는 하지만 (평범한 개발자들이 점수를 깍아먹었다는 ...), 어쨌든 상식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Algorithms이 전체 Test 중 약 40%를 차지했는데, Russia 개발자가 algorithms에서 독보적인 점수로 1위를 차지했고, Java, Data Structures, C++ 등 전반적으로 상위권을 차지한 결과 입니다. 

China 개발자도 algorithms, mathematics, Data Structures, Functional Programming에서 우위를 차지한 것이 반영되었고요. 

Poland도 두드러지는데 algorithms, Java, Python, Ruby 등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개발자들이 얼마나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Github도 중요한 판단근거인데요, 중남미 (Colombia), 동남아시아 (Indonesia, Vietnam) 등 국가의 개발자들이 Community에 기여하기 시작했다는 것도 의미가 있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베트남2022. 8. 18. 12:33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81671951

 

[단독] 서울대도 심각한 위기감…베트남에 분교 설립 추진

[단독] 서울대도 심각한 위기감…베트남에 분교 설립 추진,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호찌민대와 공동대학 설립 학부때부터 한국식 교육 우수인력 대학원에 유치

www.hankyung.com

인구학자인 서울대 조영태 교수님의 글에 보면, 다른 교수님들이 2015년, 연구년 기간에 미국으로 가는 것과 달리 베트남에 간 이유가 나와있다. "2013년 삼성전자의 하노이 박닝성 스마트폰 공장 투자, 기업들이 포스트 차이나로서의 기회의 땅으로 베트남으로 진출하는 것을 보고, 내 눈에도 베트남은 그럴 가능성이 작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란 부분이 눈에 와닿았다.

한 나라의 미래를 보려면, 특히 해외 투자를 염두에 둔다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다. 정치적 안정성, 지리적 위치, 역사, 종교 등. 그중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는 인구다. 인구는 사회 및 경제 개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소비시장으로서의 매력도, 가격 경쟁력 있는 양질의 노동력을 공급하는 노동시장으로서의 매력도를 고려해야 한다. 베트남을 소비시장으로 볼 것 인가, 노동시장으로 볼 것인가는 각 기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해외 투자 입장에서는 양질의 소비시장, 노동시장이 잘 조성돼 있는 최적의 지역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해외 투자는 단기간을 보는 것이 아닌, 중장기 적으로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인구요소들의 현재 특성만이 아니라 미래의 변화되는 모습까지 같이 파악해야 한다. 인구가 많다고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고, 연령분포가 중요하다. 통상 25~49세 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발전 가능성이 높다. 또한, 교육수준을 같이 살펴봐야 한다. 젊은 인구의 교육수준이 높아야 하고, 교육수준이 향상되는 속도가 빨라야 한다. 이런 조건에 부합한 나라가 1980년대 중후반의 대한민국이었고, 현재는 베트남이다. 베트남은 지난 15년 동안 매년 140만 ~ 150만명의 신생아가 태어났고, 2021년에 약 130만명이 태어난 반면에 한국은 27만 2천명에 그쳤다.

조영태 교수님은 책에서 베트남에 서울대 캠퍼스의 필요성을 이야기하는데, 본격적인 실행이 시작되는 것으로 보여 반갑다.

Posted by 조이트리
베트남2022. 8. 5. 09:38

이번 글의 마지막 편, 베트남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다양한 연령대의 구성, 왜 세대별로 완전히 다른 양상이 나타나는지 ...
우리나라와 아주 많이 유사한 것을 느낄 수 있다.


일곱째, 소비자 연령에 따른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베트남 3-40대가 주요 소비층으로서 구매력이 가장 큰 집단이다. 베트남의 1970년대생은 한국의 6.25 세대이다. 미국과의 전쟁이 1975년 끝났지만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캄보디아와의 전쟁이 이어졌다. 베트남이 일방적으로 승리했지만, 경제발전은 더딜 수 밖에 없었다. 캄보디아 전쟁에 불만을 품은 중국이 197930만명으로 침공했지만, 베트남 북부 예비병력과 민병대에 의해 한 달만에 철수함으로써 전쟁은 끝이 났다. 이후 생산수단 국유화와 배급제는 생산력을 떨어뜨려 인민들이 절대 빈곤에 시달렸고 쌀이 부족해 해마다 쌀을 수입해와야 했다. 이 때문에 베트남의 1970년대 생들은 한국의 6.25 세대들과 동일한 정서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자산이 꽤 많은데 어렸을 때 기억 때문에 전기도 아껴 쓰고 이면지를 철저하게 사용하는 분들이 여전히 많다. 어느 사회에서나 30대 중반에서 40대 중반들이 사회 핵심 소비계층이다. 그런데 베트남에서는 과거 10여 년 동안 이 전쟁을 겪은 1960~1970년대생들이 베트남에서 주요 소비 층을 형성하다 보니 소비력이 적을 수밖에 없어 그간 소비재 시장이 더디게 성장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어린 시절의 경험이 소비 성향을 결정지은 것이다. 물론 스마트폰이나 오토바이처럼 자신을 과시할 수 있고 필요한 물건에 대해서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 주요 소비층인 40대들이 소비를 적극 해주어야 소비재 시장이 커지는데, 이들은 자산을 불릴 수 있는 달러, , 부동산 투자에 집중하다 보니 베트남 소비재 시장이 더디게 성장할 수 밖에 없었다

1986 12월 베트남 정부는 위로부터의 개혁 쇄신, 경제 개방을 요구하는 도이 머이 정책을 채택한다. 이윽고 1988년 농경지 자유화를 선언했다. 198845만톤의 쌀을 수입하던 베트남은 농경지 자유화를 선언한지 1년 만인 1989100만톤의 쌀을 수출하게 된다. 1995년에는 150만톤의 쌀을 수출하면서 세계 3대 쌀 수출 국가가 된다. 지금은 태국과 더불어 세계 1~2위의 쌀 수출 국가가 되었다. 이 변화의 소용돌이에 태어난 1980년대생들은 전쟁을 겪지는 않았지만 유년 시절 생필품 부족에 시달렸다. 게다가 전쟁 직후 베이비부머들인 1980년대생들은 기본적으로 형제가 8~12명이니, 부족한 생필품을 수많은 형제들과 함께 써야 하는 상황이었고, 아껴 쓰고 나누어 쓰고 내 가족을 위해 내 것을 챙기는 것이 당연한 세대이다. 베트남의 1980년대생은 한국의 1958년 개띠이다. 반면 중국에서는 19801인 자녀 정책을 시행한다. 이 점이 베트남 시장과 중국 시장의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중국의 1980년대 생들은 어렸을 때부터 엄마, 아빠, 할머니, 할아버지로부터 용돈과 선물을 받아 재화가 풍족했고 집중적으로 교육 지원도 받을 수 있었다. 한국 기업들이 사드 사태가 터지기 전 지난 10년간 중국에서 좋았던 때가 바로 이 1980년대생들이 30대로서 주요 소비계층이었던 시기이다. 베트남 1980년대생들은 수많은 형제들 틈바구니에서 부족하게 살아서 소비에 꼼꼼해질 수 밖에 없고, 이들이 외국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한 2000년대 초반에 외국 기업에서 직장생활을 한 세대이다. 외국인과 일하면서 갈등을 겪고 기존 가치관과 다른 외국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기성세대와 갈등을 빚으며 혼란을 겪은 세대이기도 하다.

 

보통 2명의 아이를 둔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생들은 어린 시절의 가난함 때문에 돈은 아껴 쓰지만 개방화의 한 중심에 서 있으면서 베트남 경제에 대한 장밋빛 전망에 자식은 훌륭하게 키워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베트남 30대 가정들은 소득의 30%를 자식 교육에 쏟아 붇는다. 소비가 위축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1970년대생들의 자녀들인 1990년대생들부터는 베트남 시장 전망이 급격히 밝아진다. 베트남 소비자들은 트렌드에 민감하고 2011년에 이미 와이파이 천국이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베트남 시장은 모자이크 같은 시장이라 30년 전의 한국 모습도 10년 전의 한국 모습도, 그리고 지금의 한국 모습도 모두 뒤섞여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특히 1990~2000년대생들은 시간을 건너 뛰어버리는 세대이다. 1991년 미국은 단계적으로 베트남 경제 제재를 완화하고 1994년에는 제재를 전면 해제한다.

 

결국 1995년 베트남과 미국은 국교를 맺으며 전쟁을 했던 과거를 뒤로하고 동반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런 대변혁의 시기에 태어난 1990년대생들은 전쟁을 겪은 부모 세대와 달리 본격적으로 밀려드는 외국상품과 넘쳐나는 식량으로 베트남 근현대사에서 처음으로 먹을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세대가 되었다. 형제자매는 한두 명이고 부모들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공부에 열중하며 외국기업에 들어가기 위해 외국어를 공부하고 홍콩, 한국 드라마를 보고 자라 외국 문화에 익숙한 세대이다. 특히 1998년 대우를 필두로 한국 기업들의 베트남 투자와 함께 밀려드는 한국 드라마와 K-팝을 좋아하기 시작했고, 중국과 더불어 한류를 만들어낸 세대가 바로 베트남의 1990년대생들이다. 현재 30대 초반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을 다니면서 본격적으로 소비를 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여자 나이 25세면 노처녀라는 베트남 사회의 인식을 거부하고 자기계발과 커리어 쌓기에 집중하는 세대이다. 또한 2014년 베트남 저가항공사의 급성장으로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등 무비자로 방문할 수 있는 아세안 경제 성장 국가들로 여행을 다니면서 글로벌화된 세대이다. 스마트폰을 손에 쥔 세대이자 페이스북에서 당당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를 밝히고 외국어 습득으로 해외 정세에 밝기도 한 세대이다.

 

호치민에서 대중교통은 호치민 시민 9.2%의 이동 수요를 충족하고 있다고 한다. 이 부족한 대중교통을 그랩과 택시가 보완해주고 있다. 호치민을 가보면, 많은 시민들이 그랩을 이용한다. 비용도 저렴하고, 특별히 베트남어를 하지 않아도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외국인들은 대부분 그랩을 선호한다. 정말 편리하다. 베트남에는 10여 개의 크고 작은 배달 서비스 기업들이 치열하게 경쟁을 하고 있다. 한국 돈으로 1,500원짜리 버블티 한 개도 15분 내에 배달이 되는 진정한 배달의 천국이다. 방콕, 쿠알라룸푸르, 자카르타 등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들의 대도시 소비형태는 쇼핑몰이다. 화교가 모든 경제를 장악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쇼핑몰에서 모든 것이 해결이 되는데 베트남에서는 몰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대신 로드숍에서 음식, 화장품, 식료품 등 모든 것이 배달된다. 정부가 잘 깔아놓은 인터넷 환경과 높은 스마트폰 사용률이 결합되어 모바일을 이용한 배달 문화를 가장 애용하는 사람들이 베트남의 20대 들이다.

 

2000년대에 태어난 2K 세대들은 베이비부머인 1970년 후반과 1980년대생들의 자녀로 모바일 퍼스트 세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이고, 해외기업과 외국 문물이 친숙하고 당연한 일상의 모습들이다. 전쟁을 겪고 먹을 것을 걱정하던 자신들의 부모 세대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교육열이 높은 부모들 덕에 어지간한 공장 노동자 월급의 50%에 해당하는 학원비를 내고 영어 공부를 하고 있다. 상류층들은 베트남 내 국제학교에 보내거나 영국, 호주, 싱가포르로 유학을 보낸다. 이러한 2K 세대들이 사회 초년생이 되어 구매력이 커지는 2020년부터 베트남 소비재 시장이 급격히 팽창하는 이유이다. 또한, 하노이에는 지하철이 개통되었고, 호치민은 2023년말 개통을 앞두고 있다. 2K세대가 2020년부터 해마다 100만명씩 성인이 되고 있다.

 

베트남의 시장은 커지고 있다. 국내 기업들의 경우 제조 기지로서의 베트남으로 시작했지만, 시장으로서의 베트남으로 확대되고 있는 중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참고: 이번 글은 "왜 베트남 시장인가"에서 가져왔다고 보면 된다. 

Posted by 조이트리
베트남2022. 8. 4. 09:20

어제에 이어 베트남 시장의 발전 요인에 대해 추가적인 내용을 정리한다. 

왜 베트남 시장인가, 유영국 (참조)

둘째, 사회체제의 안정성이다.
베트남은 당 서기장, 국가주석, 총리, 국회의장 등 빅 412명의 정치국 위원이 국가를 이끌고, 어느 한 사람이 권력을 갖는 독재체제가 아니라 여러 사람이 권력을 갖고 국가의 주요 결정을 내리는 집단체제라는 점이 특징이다. 그래서 국가가 진행하는 사업이 연속성이 있고 어느 한 사람의 권력자에 의해 하루아침에 국가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 중앙집권체제 통제 아래 강한 군대와 경찰이 사회 전체를 유지하고 있어 매우 안정적이고, 이로 인해 다른 동남아 국가에 비해 매우 안전한 편에 속한다.

 

셋째, 새로운 것에 개방적이고 자유롭다. 나와 다른 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인다. 공산당이 집권하는 유일당 사회주의 국가체제이지만 중국 정부보다 개방적이고 자유스러우며 유연한 사회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교와 불교가 합쳐진 토착신앙과 불교는 물론이고 가톨릭, 개신교부터 힌두교와 무슬림까지 다양한 종교가 존재한다. 하지만, 베트남 전체 인구의 70%가 딱히 종교가 없고 조상신, 전통적 토착신앙을 믿고 있다. 종교는 기본적으로 구복신앙이라 가족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하는 것이 강하다.

 

넷째, 여성이 강한 걸 크러시의 나라이다. 베트남에는 여성 영웅들이 참 많다. 1세기 중국 후한을 상대로 민중 봉기를 일으킨 쯩 짝’, 쯩 나자매. 후한과 전쟁하던 당시 36명의 여성 장군, 궁수 스나이퍼 여성 부대가 별도로 있었다. 베트남 주요 도로 중에 하이바 쯩 이라는 도로명이 많다. 쯩 자매를 기리리 위해 조성된 도로이며 음력 28일에는 그녀들의 용기를 칭송하며 넋을 기린다. 베트남에서는 남성과 여성은 동등하게 재산 상속 권한이 있고, 집안에 남자가 없으면 여성이 제사를 지낼 수 있다. 많은 여성들이 회사에서 일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실제로 일을 잘한다. 여성 리더들을 흔하게 만날 수 있는 나라다. 

 

다섯째, 트렌드에 민감한 IT 강국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갖고 다니고, 와이파이 천국이다. 베트남 사람들의 소비력은 단순 통계상의 숫자로는 절대 파악할 수 없다. 집에 금고를 갖고 있고, 금과 달러는 금고에 보관하고 있다. 베트남의 통계자료는 제대로 파악할 수 없어 국가 경제 규모는 실제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페이스북 이용자 숫자가 5,500만명가량 되고, 베트남 군부가 운영하는 통신사 Viettel은 전 세계 10여개국에 진출, 17,50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한 세계 15대 통신 그룹이다. 베트남이 IT 강국임을 증명하는 또 다른 사례는 국민 메신저 잘로 Zalo이다. 201212월 런칭해서 현재 8,000만명의 유저를 보유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Zalo를 사용하고 있고, 베트남 친구들과 교류하는데 사용하는데 인터페이스나 이모티콘이 귀엽고, 좋은 사용자 경험을 준다. 국내 주재원들이 공통적으로 동의하는 부분은, 한국 본사에서 교육하러 와서 보면 베트남 직원들의 눈빛은 그 어느 때보다 진지하고 수업 내용에 대한 질문이 많다는 것이다. 새로운 것을 익히고 남의 것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해서 발전한 일본, 한국, 중국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베트남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려는 생동감이 넘치는 나라이다.

 

여섯째, 대기만성형 성장 모델이다. 중국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보면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중국 시장 마음 먹은 대로 안 된다’, ‘만만디 중국 시장 성질 급한 한국 기업 속앓이등의 보도가 많았다. 지난 10년간 황금알을 낳던 중국 시장도 처음에는 더디게 성장하다가 내부적으로 인프라가 구축되고 구매력을 갖춘 중산층이 점점 형성되어가면서 급성장하게 된 것이다. 베트남도 그 과정을 겪고 있고 이제 곧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시장이 되어갈 준비를 하고 있다. 다만 그 방식은 대기만성형 경제 발전이다. 태국법인 직원들에게 태국의 제2도시가 어디인가? 파타야? 치앙마이? 인구 11만의 파타야, 인구 30만의 치앙마이가 태국의 2번째 도시라고 하기에는 규모가 초라하다. 하지만, 베트남은 분산된 시장을 갖고 있다. 호치민과 하노이간의 거리는 1,614 km, 비행에 2시간 소요된다. 호치민 1,300, 하노이 850, 직할시인 하이퐁 200, 다낭 130, 껀터 150만으로 도시가 분산되어 있다. 북부와 남부는 완전히 다른 시장이다. 북부는 겨울을 포함한 4계절이 있고 남부와 달리 산이 많고 쌀농사는 2모작을 한다. 중국 대륙과 붙어 있어 과거로부터 노략질을 당했고 1년에 태풍 같은 자연재해도 많기 때문에 항상 절약하고 아끼는 습관이 일상화 되어 있다.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래로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시행해왔기 때문에 남부에 비해 다소 보수적이고 경직되어 있다는 평을 많이 받는다. 반면 남부는 건기와 우기 딱 2계절로 나뉘며 태풍은 없고, 쌀농사는 일반적으로 3모작, 일부 지역은 4모작까지 가능하다. 지천에 널린 것이 과일과 먹을거리이다. 특히 메콩강 유역은 물 반 고기 반으로 수산자원이 풍부하다. 바다를 끼고 있어 예로부터 다양한 외래문물이 많이 들어왔고 동남아 특유의 낙천성까지 갖추고 있어 행동이 북부 대비 느리다. 추운 겨울 걱정도, 식량 걱정도, 자연재해 걱정도 없는 축복받은 지역에서 살아온 사람들이기에 낙천적인 것이 당연하다. 또한 프랑스로부터 독립 이후 미군정하에 있었기 때문에 자유시장 경제체제가 익숙하다. 1975년 미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1986년 도이머이 개방화 정책이 시행될 때까지 11년간만 사회주의 경제체제에 있었던 사람들이라 상대적으로 소비 욕구도 강하고 트렌드에도 민감하다. 한국으로 치면 하노이는 평양, 호치민은 서울이다.

하노이에서 1시간 떨어진 박닌성에 삼성전자 스마트폰 공장 유치하며 삼성전기, 삼성SDI등 계열사와 협력업체까지 30만명 이상을 고용 창출하는 거대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었다. 호치민에는 삼성전자 가전 공장을 만들어내며 북부와 남부 균형 투자를 하고 있다. 베트남 GDP20% 이상을 삼성전자가 만들어 낸다. LG는 북부 하이퐁에 LG그룹 산업단지 정비했다. LG전자, LG화학, LG디스플레이 및 협력업체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언론에서 삼성전자가 베트남에서 철수한다는 등의 기사와 유투버들의 부정적인 내용들이 나오지만 삼성전자는 ‘226월 호치민 가전복합단지에 18,000억 이상의 추가 투자를 단행했고, 하노이에 동남아시아 최대 연구개발센터를 짓고 있는 것에 비추어 사실 무근이다.

 

 

Posted by 조이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