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팅2011. 3. 31. 16:39
자연 재해로부터 자유로운 나라가 있을 수 있을까요?
지진 안전지대라는 대한민국 조차 크고 작은 지진이 벌어지고, 백두산의 분화 가능성이 연일 언론에서 보도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 지진으로 인해 데이터센터의 대륙별 재해 복구 시나리오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재해는 언제, 어디서나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재해로 인해 받는 인적 손실이 마음 아프지만, 그 이후에 맞게 되는 물적인 손실도
감당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기업에게 있어 고객 데이터, 재무 데이터, 트랜잭션 데이터 등은 기업의 흥망성패를 가늠할 수 있는
필수 불가결한 것 입니다.
시스템이 손실을 입는 것도 피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더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재해복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만만한 일은 아닙니다.
해외 데이터센터를 섭외하고 운영 인력을 유지하고, 동일한 시스템을 한 번 더 유지한다는 것은 왠만한 의지 없이 집행하기 어렵죠.
TCO/ROI를 따지기 좋아한다면 더욱 꿈꾸기 어렵습니다.

이에 대한 해법을 클라우드 컴퓨팅이 제공합니다.

Nirvanix라는 클라우드 제공회사의 CEO는 "고객이 현재 해당 지역에서 데이터를 이전하고자 한다면 현재 비즈니스를 중단하지 않고, 자연스럽고 시기적으로 빠른 시간안에 데이터를 확실하게 이전해드릴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3을 완전수라고 이야기 합니다. Origin 데이터, 2곳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DR을 유지한다면 데이터 손실 가능성은 0에 가깝습니다.
물론 비용 및 여러가지 변수가 고려되어야 하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만 본다면 클라우드 컴퓨팅이 대안이 된다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SQL Azure를 이용하여 현재 운영중인 데이터베이스를 DR 목적으로 운영하는 고객들이 이미 존재합니다.
메인 데이터센터의 DB에 문제가 생기면 바라보는 포인트를 SQL Azure 데이터베이스로 변경하는 순간 서비스가 정상 가동하게 되는 세상, DR도 손안에 들어오네요.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6. 11. 10:25

클라우드 컴퓨팅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패턴 중의 하나가 “예측하지 못하는 주문 폭주” 입니다. 예를들면, 미국의 슈퍼볼 게임 기간에 피자 주문량이 폭주하는 것이나, 우리나라에서 월드컵 기간에 치킨 주문이 폭주하는 등이 하나의 예가 되겠죠.
Windows Azure를 사용하는 고객 중에 도미노피자가 있습니다. 올해 1월에 치러진 슈퍼볼 (일요일)에 도미노피자가 시스템 장애 없이, 특별한 장비 투자 없이 성공적으로 추가적인 주문 트래픽을 소화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클라우드 컴퓨팅, 그 중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Azure를 활용했기 때문이라는 사실, 잘 모르셨죠?

또 하나, 고객 분들이 자주 묻는 질문중의 하나가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Azure, SQL Azure가 뭐가 대단한 거냐? 라는 질문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Azure, SQL Azure는 하나의 운영체제 입니다. 예를들면, SQL Azure를 이용해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고 가정하면 이 데이터베이스가 전 세계의 마이크로소프트 Azure 데이터센터에 분산 배치되겠지만 고객에게는 하나의 인스턴스로 보인다는 것이죠. 즉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쓰는 것과 동일하다는 겁니다. 전세계 어디서 접속하든지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거고, 한 곳의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생겨도 전혀 문제없이 데이터 접근이 가능해진다는 것이죠. 이런 모든 일들이 자동화되어서 서비스 라이프 사이클 관리가 된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진정한 의미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라는 말이죠.

하지만 아직 더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은 역시 남아 있습니다. 기존 Windows Server에서 구동되던 애플리케이션을 Windows Azure로 올리기 위해서는 설정 부분과 Web Role (프리젠테이션), Worker Role (비즈니스 로직)으로 코드를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물론 크게 복잡하지 않아서 어렵지 않지만 손이 가야 한다는 것이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Azure로 바로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올해 말 정도에 추가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될 때 Windows Azure의 Scalability나 특정 네이티브 기능의 혜택을 보지 못하게 되긴 하지만요. 당연히 그렇겠죠? 분산 컴퓨팅 환경에 맞도록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6. 10. 10:56

그 동안 좀 오래 쉬었습니다. 이제 새로운 부서에서 적응했으니 다시 활동을 해보려고 합니다.

Microsoft TechEd 2010에서 몇 가지 의미 있는 발표가 있어서 적어봅니다.
1. SQL Azure 관련 내용
    -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크기가 기존 1, 10G –> 50G로 확대
    - Data Sync 서비스가 Public Preview로 발표되었습니다. 물리적으로 분산된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하나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QL Azure를 위한 SQL Server Web Manager를 여름에 출시합니다. 
    - Spatial data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Spatial data는 위치 기반 정보 (위도, 경도)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매핑, 각 지점간의 거리,
          특정 위치에 관련된 여러 가지 오퍼레이션을 다룰 수 있게 되는 거죠.
     - http://blogs.msdn.com/b/sqlazure/

2. Windows Server AppFabric
    - 정식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 On-premise, Cloud간의 유기적인 연동을 위해서는 인증, Service Bus 등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AppFabric이 바로
      그 역할을 제공하죠. Windows Server에 sub 기능으로 추가됩니다. 
      http://msdn.microsoft.com/appfabric
    - 웹, 조합,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의 관리 및 성능 향상
    - 분산 캐싱 기능을 제공합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12. 28. 19:24

Information as a Service, Data as a Service라고도 부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웹 페이지, IT 시스템 등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 무엇일까요? 아주 화려한 UI, UX, 프로그램 코드? 물론 다 중요하지만 핵심은 데이터 입니다. 알맹이가 없는 밤이 버려지는 것처럼 데이터가 없는 UI는 공허한 하나의 껍데기가 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데이터의 범위, 분류를 해보는 것은 너무도 방대한 일이기에 굳이 그렇게 하지 않겠습니다. 간단히, 신문사의 기사, 방송국의 뉴스, 영화, 또는 통계청의 각종 통계자료, 국세청의 데이터, 국방부에서 공개하는 데이터, 미국 NASA의 우주 사진 등 방대한 자료를 개별 회사, 또는 정부기관에서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각 조직이 보유하고 이는 데이터의 포맷이 다른 것이 현실입니다. 국방부에서 공개하는 데이터를 가지고 제가 어떤 조작을 해서 의미 있는 정보를 만들어보고자 할 때 어떤 특정한 포맷 없이 구성되어 있을 수 있고, XML로 구성되어 있거나 ATOM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을 것 입니다. 즉, 각 조직이 어떤 파일 포맷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굉장히 성가시고 다루기 어려운 것이 사실 입니다.

또 다른 골치거리는 각 기관별로 찾아 다니면서 어떤 자료가 공개되어 있는지 찾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죠.
이럴 때 정부기관, 기업들의 데이터 중 공개 가능하거나 판매하고자 하는 정보가 마켓플레이스에 모두 모여 있다면 데이터를 서비스로 구매해서, 가공하여 또 그 데이터를 판매하는 일이 가능할 것 입니다. 이것을 Data as a Service라고 부르는데,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 Windows Azure Platform과 SQL Azure를 이용하여 Code name Dallas가 발표되었습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데이터, 이미지, 실시간 웹 서비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 장소에서 통합된 프로비저닝과 빌링 프레임웍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도 주요한 특징입니다. Dallas API를 이용하여 개발자나 정보근로자가 어떤 플랫폼, 즉 웹, 모바일 등에 관계 없이 프리미엄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

1. 소비자나 비즈니스에 활용 가능한 차세대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필요한 컨텐츠 확보 가능
2. 현재 애플리케이션이나 리포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치 있는 데이터를 찾아 구매 가능
3. 이종의 데이터 집합을 결합하여 비즈니스 성능과 프로세스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통찰력 획득
4. Blob, 구조, 비구조적 데이터와 실시간 웹서비스를 API를 이용하여 가시적으로 탐색
5. 리포팅과 분석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SQL 서버 내부에 있는 제 3의 데이터를 쉽게 사용 가능
예를 들면, UN의 Energy Statistics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15개 국가별, 지역별 소비량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건데, 이 데이터가 지금 Dallas에 무료로 올라와 있습니다.

http://pinpoint.microsoft.com/en-US/PartnerDetails.aspx?PartnerId=12884901889&LocId=1249835483137
구독을 하면 아래와 같이 Dallas 창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 Free로 제공하고 있죠. UN의 WHO Data를 원하는 값, 예를 들면 대한민국의 2006년 기준 예상수명 값을 조회한 데이터 입니다. 82살이라고 나오네요. 이런 값을 전체적으로 가져와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로 활용하면 재미있는 Data 서비스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향후에 상용화도 가능하겠죠. 이건 너무 무궁무진해서 생각하는 만큼 비즈니스가 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의료, 법률, 통계청 각종 통계 데이터, 기상청 날씨 데이터 등등 제가 그냥 생각하는 것도 만만치 않게 많네요. 이후에 재미있는 사례가 올라오면 좀 더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