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팅2011. 7. 28. 17:31
Linux 3.1 Integration 서비스가 정식 배포되었습니다.

Hyper-V에서 구동되는 가상 운영체제 중 많이 사용하는 RedHat Enterprise 6.X 버전과 CentOS 6.X 버전이 추가되었습니다.

·         Red Hat Enterprise Linux 6.x (x86 & x64)

o   Red Hat Enterprise Linux 6.0 (x86 & x64)

o   Red Hat Enterprise Linux 6.1 (x86 & x64)


·
        
CentOS Linux 6.x (x86 & x64)

o  CentOS has only released 6.0 presently


위 내용은 Open Source Convention 2011 행사에서 발표되었습니다.


Linux Integration 다운로드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26837

 - 드라이버 지원 (Synthetic 디바이스): 네트웍 컨트롤러, IDE, SCSI 스토리지 컨트롤러

 - Fastpath 부트 지원: 성능 향상을 위해 VSC(Virtual Service Client) 활용
 - Timesync: 가상머신의 clock이 호스트 장비의 clock과 동기화
 - Integrated Shutdown: Linux가 구동중인 가상머신을 Hyper-V 관리자, SCVMM(시스템센터 가상머신 관리자)에서 Shut Down 명령어로 셧다운 가능
 - SMP 지원: Linux 가상머신이 4개의 가상 프로세서까지 지원
 - Heartbeat: 호스트 장비에서 가상머신이 정상 동작하는지 반응 체크 가능
 - Key Value Pair Exchange: Linux 가상머신의 정보 획득 가능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10. 9. 19:47
요즘들어 정말 많이 받는 요청이 바로 클라우드 데스크탑에 관한 것 입니다.
어떤 분은 SBC(Server Based Computing)을 클라우드 데스크탑이라고 하시고, 
어떤 분은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가 클라우드 데스크탑이라고 하시고, ...

클라우드 데스크탑에 대한 정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데스크탑을 조금 나눠보면 이렇게 되잖아요.
 4. 데이터 및 User Profile
 3. 프리젠테이션
 2. 애플리케이션
 1. 운영체제 (Windows 7, XP)

현재 보고 계시는 PC(데스크탑)을 생각하시면, 위의 4가지 영역이 모두 로컬 PC에서 이루어지고 있죠.
그렇다면 클라우드 데스크탑은? 위의 작업 중 3. 프리젠테이션을 제외하고는 모두 데이터센터의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클라우드 데스크탑을 구현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거죠.
SBC(Server Based Computing)은 서버 1대를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공유하는, 즉 많이 익숙하신 터미널서비스 형태로 붙어서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되면 공용서버를 사용하게 되니까, 아무래도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사용자가 서버에 연결하는 것을 세션 브로커가 대신해주는 방식이죠. 하지만, 이렇게 되면 각 사용자가 관리자의 권한을 갖고
이전 로컬 PC를 소유한 것처럼 마음대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수정하고, 즉 표현의 자유가 제한 받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방식으로 진행하면 물리적인 서버를 가상화 기술을 통해 여러개의 가상머신으로 나누고
해당 가상머신 위에 Windows 7을 설치하여 각 사용자가 자신만의 PC를 보유한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는거죠. 표현의 자유를
보장 받는 거죠. 하지만, 단점은 가상머신의 숫자가 하드웨어 자원에 영향을 받기에 SBC 방식보다는 더 비싸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VDI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Server 2008 R2 Remote Desktop Services (RDS)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10. 7. 22. 17:22

많은 고객들이 Microsoft의 가상화, Hyper-V에 대해 제공되었으면 하는 부분이 바로 메모리에 관한 것 입니다.
”V사의 경우는 메모리 overcommit을 제공하는데, 왜 마이크로소프트는 동적인 메모리 할당을 제공하지 않는가?”

그런데 실제로 사용하시는 모습을 보면 메모리 overcommit을 켜놓고 쓰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성능 저하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메모리 overcommit이란? 실제 물리적 서버에 4G의 메모리가 있을 때 가상 서버가 1G의 메모리를 사용한다면, 4개의 가상 서버를 구동하면 물리적인 4G가 다 점유됩니다. 실제로는 더 이상의 가상서버에 메모리 할당이 불가능한데, 이 것을 실제로는 더 적게 사용하는 것처럼 하면서 5번째 가상서버, 6번째 가상서버에 1G 씩의 메모리를 더 붙여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굉장히 좋아 보이지만, 득과 실이 있는 것은 당연한 법,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것이죠. 그것도 심하게 …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메모리를 유연하게 사용하도록 해주지만, 위와 같이 메모리 overcommit이 아닌 Dynamic Memory라는 개념을 사용했습니다. 물리적인 서버가 가지고 있는 메모리를 하나의 Pool 개념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해당 가상머신(워크로드)의 부하가 달라지게 되는데요, 이 부하에 따라서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 더 많은 메모리를 할당해주고, 사용량이 줄어 들면 메모리를 회수하여 다른 가상머신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개념이지요. 동적인 메모리 밸런싱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리적 머신의 최대 메모리 안에서만 자유롭게 할당, 회수가 일어납니다. overcommit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은 그림으로 보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1G로 시작하지만, 업무량이 많아지면 최대 64G까지 할당하겠다는 것이지요.

Dynamic Memory Settings Highlighted

자원을 사용량에 따라 유연하게 배부해주고, 사용량에 따른 비용 배부까지 가능해집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본 개념을 가상화 기술에 자연스럽게 접목한 것이지요.

image

시간대별로 업무량에 따라 사용량이 이렇게 달라지네요. ^^

출처: Technet Blog에서 가져왔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6. 22. 14:27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Server 2008, 2008 R2에 내장된 가상화, Hyper-V 아시죠?

Hyper-V를 통해 한대의 서버 위에 여러 대의 논리적 서버 (가상 머신)을 구동할 수 있잖아요.
이 가상 머신이 Windows Server, Linux (SUSE, Redhat) 등 Linux 운영체제도 올라갈 수 있거든요.
이 때 Linux 가상 머신에 할당 가능한 CPU 갯수가 현재는 1개까지만 가능한데, 조만간 4개까지 가능하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는 RC version of the Linux Integration Services (Release Candidate 버전) 이지만 곧 정식 버전이 나올 예정입니다. 나오면 바로 올려 드릴게요.

기술 지원에 대해서는 Server Virtualization Validation Program이 가동 중입니다. (Red Hat, VMWare, Novell, Cisco, 기타)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2. 26. 11:05

Windows Server 2008 R2의 Hyper-V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즉, A호스트에서 운영되던 가상서버를 B호스트로 이관할 때 이미 연결되어 있는 세션의 끊김 없이 이관해주는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십니다. 이에 대한 명쾌한 가이드가 본사에서 나와서 알려드립니다.

제일 많은 궁금증이 아래와 같습니다.

1. 호스트 서버에 네트웍 카드가 몇 개나 필요하지?
2. 호스트에 네트웍 카드 (NIC)가 2개, 3개, 4개, 그 이상이면 어떻게 설정하지?
3. 네트웍 카드가 몇 개 없다면 트래픽을 어떻게 적은  NIC에 묶어서 보내지?
4. 1Gbps NIC과 10Gbps NIC을 가지고 있을 때 추천하는 가이드가 달라지나?

Hyper-V: Live Migration Network Configuration Guide

일단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영문인데, 혹시 한글로 필요하시면 말씀해주세요.제가 중요한 부분만 번역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10. 1. 18. 19:49

SAN (Storage Area Network), 보통 SAN 하면 고가의 스토리지를 떠올리시죠? 서버를 구매하시면 하드디스크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요즘은 1TB가 내장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죠. 그렇지만, 이 내장 하드디스크는 그 서버에 있는 웹서버, DBMS만 사용 가능하죠. 그런데 이 서버에서 구동되는 웹서버나 DBMS가 100G 밖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완전 낭비가 되는 거죠. 이 유휴 공간을 다른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100대의 서버에서 낭비되는 스토리지를 모아보면 엄청난 양이 될 겁니다. 그렇지만, 뭐 어쩔 수 없는 거죠. 쓸 수있는 방법이 없는데 어쩌겠어요? 아, 이걸 해결해주는 솔루션이 있다고요? 그게 어떤 거죠? 제게도 좀 알려주세요.
아직 완전한 분산 스토리지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이런 DAS(Direct Attached Storage, 즉 내장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거대한 풀로 만들고 다수의 가상 서버들이 SAN (즉, 하나의 스토리지) 처럼 보이도록 하는 솔루션이 있습니다.
HP가 인수한 LeftHand iSCSI SAN 인데요, 마이크로소프트의 Hyper-V, System Center 스토리지 통합 솔루션과 함께 파트너십을 맺고 함께 출시하겠다고 발표가 됐네요.

이렇게 되면 인프라 클라우드를 구축할 때 운영체제는 이미 가능했고 (Dynamic Data Center Toolkit), 스토리지 역시 하나의 거대한 SAN 장비를 구매하지 않고도 많은 다수의 서버들의 DAS를 SAN 처럼 활용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분산 스토리지 구축이 가능해지는 첫 단추가 끼워졌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12. 24. 14:36

자유 시장에서의 경쟁은 아름답습니다. 아주 힘들고 고통스러울 때도 많지만, 그 경쟁 자체가 즐거움을 주기도하고 무엇보다 소비자의 선택권 이라는 소중한 기쁨이 되기 때문입니다.

가상화 경주에서 주목 받는 두 마리의 말, VMware의 vSphere 4, Microsoft의 Hyper-V R2가 있습니다.
2009년 가장 주목 받는 이야기 거리로 많이 언급된 내용 입니다. vSphere4 는 2009년 4월 출시, Hyper-V R2는 2009년 7월에 출시되었습니다. Hyper-V에서 고객 들이 가장 아쉬워 한 기능이 바로 Live Migration의 부재였습니다. A 호스트 서버에서 구동되던 가상머신을 B 호스트 서버로 이관할 때 맺어져 있던 세션이 끊기지 않고 이동하는, 즉 하드웨어 간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기능인데 이것이 Hyper-V R2에 추가되면서 VMWare와 기능이 거의 동등하게 된 것이죠. 물론 CSV(Clustered Shared Volume), 즉 각 호스트 간에 스토리지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Live Migration도 가능하게 된 것이고, 이 기능도 아주 중요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죠. 가격은 1/6 정도로 Hyper-V R2가 저렴하다고 하는군요. 제가 가격은 정확히 모르지만, 일반적으로 그렇게 이야기를 하더군요. 잘못됐다면 수정해주세요.

몇 가지 재미있는 내용이 있어서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위 2가지 기술 이외에 Citrix의 Xen 5.5도 있죠. Xen을 포함해서 3각 편대라고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오라클을 빼면 재미가 없어지겠죠? 오라클이 가상화에서는 소외되어 있었는데요 지난 5월에 Virtual Iron이라는 업체를 인수했습니다. 그리고 Sun을 인수했고요, 내년 1월에 통합에 대한 승인이 떨어질 거라는 소문이 돌더군요. Sun의 가상화를 이용해서 어떤 반격을 할 지 지켜보고 나중에 다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에 재미있는 일이 또 벌어지고 있죠. 네트웍의 강자 Cisco가 Unified Computing System(UCS)로 등장을 했습니다. Cisco에서 서버도 만들고, 즉 서버, 네트웍 장비, 관리 소프트웨어를 조합해서 Cisco의 하드웨어로 모든 IT 업무를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거죠. 이 제품은 지난 7월에 출시됐습니다. 거기다가 Cisco, VMware, EMC가 하나의 Joint Venture 회사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2010년에 많은 이야기가 나올 것 같은데 이것도 재미있는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네요.

이런 혼전 상황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가상화 Hyper-V R2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시장 조사에 의하면 VMware vSphere 4, Microsoft의 Hyper-V R2 중에서 선택하겠다는 고객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Virtualization Decisions 2009 Purchasing Intentions Survey)
TheInforPro가 이번 달에 조사한 결과를 보면 현재 VMware를 사용하고 있는 회사 중에서 2010년에는 다른 가상화 제품을 도입하겠다는 비율도 2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rivate Cloud 구축을 위한 핵심이 가상화 솔루션이고, 2010년에 많은 회사들이 자체적인 서버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 제가 진행했던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구축은 LG CNS, LG Dacom, 스마일서브, 그리고 주요 호스팅 업체들이 몇 곳 더 있는데요, 완료되면 실제 회사명을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내년에는 50개 정도의 업체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하는데요, 그 수가 매년 70~100개 씩 늘어나면 정말 시장이 클라우드 인프라로 바뀌지 않을까요?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10. 27. 19:50

앞의 글에서 2010년, 가장 주목 받는 기술로 가상화가 선정되었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가상화, 아주 유용한 기술임에 틀림 없습니다.

가상화 시장의 승자는 누가 될까요? VMWare, Microsoft? 아니면 Xen?
어떻게 생각하세요? 보는 시각에 따라, 설명하는 사람에 따라 전혀 다르게 이야기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의 우위는 VMWare가 가져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다르게 전개될 것 같다는 것은 확실히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VMWare vs Microsoft, Windows Server 2008에서는 VMotion, 즉 A 호스트에서 구동되던 가상머신을 B 호스트로 이전할 때 세션의 끊김 없이, 즉 사용자의 작업이 중단되는 일 없이 이전되는 기능이 VMWare에는 있었고 Microsoft의 Hyper-V에서는 없었죠. 사실 실제 정상적인 운영 시나리오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는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큰 결함처럼 여겨졌던 것이 사실 입니다.하지만, 이 차이가 Hyper-V 2.0에서는 사라졌습니다. Microsoft의 Live Migration 기능을 통해 가능해진 것이죠.

그런데 실제로 중요한 것은 이런 부가적인 기능, 즉 나무를 보는 것이 아니라 숲을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워크로드가 가상화 된다? 많은 엔터프라이즈 고객들은 트랜잭션이 많이 발생하는 데이터베이스, 입출력 작업이 많은 경우는 가상 서버로 운영하지 않습니다. 물리적인 서버를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죠. 가상머신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업무들은 분명히 늘어나는 추세지만, 이 비율이 50%를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생각합니다. 결국, 물리적인 서버와 가상 머신이 공존하는 환경으로 구성됩니다. 여기에 마이크로소프트의 관리 제품 군에서는 물리적 서버와 가상 머신 모두에 대해 모니터링, 관리, 설정 및 백업, 복구가 가능하지만, VMWare는 가상머신에 대해서만 관리가 가능하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Windows Server 2008 R2, Hyper-V 2.0, System Center 제품군을 활용한 인프라 클라우드 구축을 통해 보다 더 진일보한 IT 시스템, 비즈니스 Enabler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을 바로 마이크로소프트 가상화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10. 12. 11:16

마이크로소프트와 Red Hat이 가상화 관련 협업을 하겠다고 2009년 2월 선언한 후 8개월 만에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Server 2008과 Red Hat Enterprise Linux 5.4가 함께 구동되는 가상화 환경에 대해 테스트와 검증이 완료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Red Hat의 첫번째 대규모 협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단 하나의 운영체제로 구동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이 기종 운영체제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기념비적인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에 앞서 Novell의 SUSE Linux와는 이미 테스트 및 검증이 완료되어 있기 때문에 리눅스와 상호운용성이 완성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이외에도 7월에 리눅스 커널을 위한 가상화 디바이스 드라이버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코드를 무상으로 제공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 인증된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Kernel Virtual Machine(KVM) Hypervisor를 사용하는 Red Hat Enterprise Linux 5.4와 Windows Server 2003, 2008, Windows Server 2008 R2 게스트
2. Windows Server 2008 Hyper-V, Microsoft Hyper-V Server 2008, Windows Server 2008 R2 Hyper0V와 Red Hat Enterprise Linux 5.2, 5.3, 5.4

위 인증된 가상화 소프트웨어 상에서 구동되는 선별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기술지원을 제공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리케이션 중 BizTalk 서버, Exchange 서버, Sharepoint 서버가 포함되며 이후에 추가될 예정입니다. Hyper-V 위에서 구동되는 Red Hat의 JBoss Enterprise Middleware의 경우도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Red Hat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구독을 하고 있는 고객, Windows Server 2008 기술지원 계약을 맺고 있는 고객은 모두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고, 계약이 없는 고객은 지원이 필요할 때 마다 Incident를 별도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7. 30. 22:59

“윈도우 플랫폼이 기업 내부 클라우드 대세될 것”

블로터닷넷 도안구 기자님이 써주신 (2009.7.29) 글 입니다.
한 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올려 봅니다.

그리고, 저는 7/31일부터 8/18일까지 장기간으로 Helsinki School of Economics MBA 수업 차
핀란드 헬싱키로 교육 출장을 가게 됩니다. 거의 3주에 가까운 기간을 비우게 되네요.
블로그에도 글을 많이 올리지 못하게 될 것 같습니다.

대신 이번에는 사진을 좀 찍어서 여행 및 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글을 좀 실어볼까 합니다.

잘 다녀오겠습니다, 꾸벅 ~
Posted by 조이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