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2009. 7. 14. 15:00
마이크로소프트 WPC(Worldwide Partner Conference) 2009 행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킬러 애플리케이션, 오피스 2010에 대한 발표가 있었는데, 많은 분들이 혹시? 하고 기다리던 오피스 웹 애플리케이션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발표가 의미 있는 이유는 일반 개인사용자는 무료로 웹에서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원노트 작업이 가능해진다는 것이죠.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고, 브라우저를 쓸 수 있다면 어디서나 문서를 읽거나, 작성, 수정할 수 있게 된거죠.
해외 출장 다닐 때 노트북을 100% 가지고 다니셨다면, 오피스 웹 애플리케이션과 앞의 글에 제가 소개한 Live Mesh를 사용한다면 노트북이 없어도 충분할 때가 많이 생기게 된 거죠. 정말 어디서나, 어떤 장치에서나 업무가 가능한 세상이 왔다는 것이죠. 또한, 온라인 상에서 다른 팀원들과 같은 문서를 서로 공유하거나, 심지어는 함께 수정하는 작업도 가능해 졌답니다.

이런 시나리오를 생각해보죠. 한 명은 PC를 사용하고, 다른 팀원 1명은 이동중인데 모바일 폰을 이용해서 같은 문서를 보면서 미팅을 하며 수정하는 거죠. 임원에게 보고할 급한 내용의 자료가 이렇게 만들어질 수도 있겠군요. 인터페이스는 기존에 익숙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고요. 클라우드 컴퓨팅이 이야기하는 시나리오가 바로 이거죠.

가장 중요한 비용은? 앞에서 언급 했듯 일반 개인사용자 (학생, 집)는 무료로 쓸 수 있고, 비즈니스 사용자의 경우는 라이선스 비용을 별도로 지불해야 합니다. 

이 사이트를 방문하셔서 동영상 데모를 보시면 좀 더 자세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microsoft.com/office/2010/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7. 13. 19:43

데이터센터 규제가 필요할까요? 필요하지 않을까요? 개인적으로 데이터센터 관련 비즈니스를 한 사람으로서 규제는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미국, 유럽에서는 데이터센터 관련하여 어떤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을까요? 영국의 경우 온실가스 규제가 법제화되고 있는데, 데이터센터도 빠져나가기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2010년 4월에  Carbon Reduction Commitment (PDF)가 본격 발효될 것 같습니다.
앞의 글에서 PUE(Power Usage Effectiveness)에 대해 설명했었는데, 인터넷 회사의 경우 1.2 정도를 유지하고, 이중화 등이 필요한 기업 (금융권 및 기업군)은 2.0 정도의 값을 유지할 것을 가이드하고 있습니다.
PUE(Power Usage Effectiveness)는 쉽게 이야기하면 데이터센터에 들어오는 전원 중 IT 운영 (서버, 네트웍, 스토리지) 장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100이 들어오는데 IT 장비가 50을 사용하면 100/50, 즉 2.0이 되는 방식이죠.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데이터센터가 현재 약 1.2 수준의 PUE 값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데이터센터 Energy Efficiency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방법, 즉 베스트 프랙티스를 공개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결국 규제를 받게 될텐데, 우리나라는 언제 어떤 시기에 규제를 가하게 될지 알수 없습니다.
사전에 준비가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7. 9. 11:18


마이크로소프트의 Public Cloud 중 Live Mesh 서비스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Mesh는 섞는다, 뭐 이런 뜻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데스트탑 (노트북), 웹, 핸드폰, 그리고 네비게이션 등의 기타 클라이언트 장치들은 서로 다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그 사진을 케이블을 이용해 노트북으로 다운 받고, 다운 받은 사진을 다시 웹으로 올리는 절차가 필요했다는 거죠. 그런데, Live Mesh를 통하면 Device (각 장치)간의 Mesh가 이루어져 별도의 다운, 업로드 절차없이 연결된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가 자동으로 동기화 됩니다.

제가 지금 번역하고 있는 책이 한 권 있는데, 제가 옮겨 다닐 때마다 노트북을 가지고 다니기는 어렵고, 해당 파일을 매번 메일로 보내 놓거나, 웹하드에 올리는 등의 절차는 굉장히 번거롭습니다. 이렇게 하는 대신에, www.mesh.com 에 Windows Live ID를 생성한 후 Live Desktop에 폴더를 하나 생성 합니다. "번역 -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오른쪽 마우슨 버튼을 누른 후 "When Files are added or modified"로 설정을 바꿉니다.


이렇게 하면, 노트북의 바탕화면에 아래와 같이 Mesh 폴더가 생깁니다.


이 폴더는 Live Desktop, 즉 웹과 노트북이 동기화 된 폴더 입니다. 즉 이 폴더에 있는 문서를 꺼내서 편집하여 저장하면 웹에도 똑 같이 저장되는 거죠. 이동 시 굳이 노트북을 들고 다닐 필요가 없겠죠. 데이터는 클라우드에 있는거죠. 자연스럽게 데이터에 대한 백업도 함께 이루어 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동기화가 가능한 이유는 노트북에 LOE(Live Operation Environment)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고, 만약 오프라인 상태라도 이 운영 환경 덕분에 저장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동기화는 온라인 상태가 되었을 때 이루어지게 되죠.

이건 모바일 Mesh도 마찬 가지 입니다. 스마트폰에 LOE 환경, 즉 Live Mesh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위와 똑같이 연결이 되는 거죠. Mac Book 역시 마찬가지로 연결이 됩니다. 만약, 다른 디바이스, 네비게이션 등을 연결하고 싶다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SDK를 통해 어렵지 않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즉, 모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간에 끊김 없는 연결이 현실화 된 거죠. 그런데, 이건 데이터, 디바이스 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도 Mesh가 가능합니다. 이건 CTP 상태라 아직 좀 더 진보되어야 하지만, 개념적으로 한 곳에 설치된, 즉 Live Desktop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모든 장치에서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애플리케이션 Mesh는 https://developer.mesh-ctp.com/Welcome/default.aspx 이 사이트를 통해 사용하실 수 있고, 일반적인 Device Mesh는 http://www.mesh.com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Windows Live ID 하나면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한 번 써보세요 ~ 굉장히 편리합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7. 8. 23:41

연합뉴스, 한겨레 등에서 기사를 실어 주셨네요.
오늘 참석 못하신 분들을 위해 발표한 내용의 스크립트를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7. 2. 13:13


방송통신위원회가 주최하고 “KISTI,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 전자신문”이 주관하는 The Clouds 2009 컨퍼런스에
한국MS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례 Track에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Azure & Azure Services Platform” 이라는 주제로 참여합니다.


이 행사에 앞서 진행되는 전자신문 지식방송 UTV 특별대담에 주관사의 추천으로 제가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주제는 “클라우드의 가능성, 핫 이슈를 통해 한국형 클라우드의 미래를 제시한다” 입니다.

다음 주 월요일 130분부터 230분까지 총 1시간 진행될 예정입니다. (생방송)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 부탁 드립니다. 

아래는 전자신문사 공지 내용 입니다.
 

      행사취지

      전세계적으로 클라우드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국내외 주요 기업들 및 정부부처에서도 구체적인 적용과 표준화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상용화되면 우리 삶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것인가? 기업들의 업무환경도 훨씬 더 좋아질 것인가? 슈퍼컴퓨팅부터 클라우드까지 국내최고의 전문가이신 KISTI 이상동 박사님과 글로벌 트렌드와 기술들을 전파하고 있는 한국마이크로소프트의 신현석 에반젤리스트를 모시고 그 현실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이에 국내외 사례 및 현황들을 짚어가며 앞으로의 전망과 더불어 한국형 클라우드라는 미래 비전을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전자신문 지식방송인 UTV 를 통해 인터넷으로 실시간 생중계 되는 이번 좌담에 많은 참여 바랍니다.

      행사명 : 전자신문 지식방송 UTV 특별대담

      주제 :  클라우드의 가능성, 핫 이슈를 통해 한국형 클라우드의 미래를 제시한다.

      일시 : 7 6() 13:30 14:30

      장소 : 전자신문UTV (http://utv.etnews.co.kr) *실시간 온라인 생중계

      주최 : 전자신문사

      참석대상 : 클라우드에 관심있는 사람(참가비 무료)

      발표자 : KISTI 이상동 박사, MS 신현석 부장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7. 1. 11:01
마이크로소프트가 클라우드 컴퓨팅, 즉 서비스 비즈니스에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고 Thought Leadership을 갖고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은 다 알고 계시죠?

현재까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데이터센터가 미국 내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미국 이외의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한 데이터센터, 제1호가 가동을 시작합니다.
아일랜드의 더블린에 30만 평방미터의 데이터센터가 오늘부터 가동을 시작하게 된 거죠.

아일랜드 데이터센터의 크기 보다 2배 이상 큰 (70만 평방미터) 규모의 Chicago 데이터센터가 7월 20일에 오픈 합니다.

이에 앞서 작년 9월에 47만 평방미터 규모의 센터를 Texas, San Antonio에 오픈했고, 2007년 4월에는 50만 평방미터의 데이터센터를 Quincy, Washington에서 이미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바로 이 센터들이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용 클라우드 Windows Azure, Azure Services Platform 서비스가 구동되는 곳이었는데
그 영역이 훨씬 더 커지게 된 것을 의미합니다. 애저 이외에도 Online, Live 서비스 역시 담당하고 있죠.

여기서 잠깐, 30만 평방미터면 어느 정도 크기 인지 잘 감이 안잡히시죠? 9만평 정도 되네요.
축구장 1개의 크기가 2,200평 정도 되니까 그 사이즈가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잡히실 것 같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 플러스 서비스" 전략 아시죠? 내부 IT 조직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가 서비스의 장점을 이용하고자 할 때 인증의 통합, 인터넷 서비스 버스, 워크플로우 통합 등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런 역할을 Azure Services Platform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프트웨어와 서비스가 서로 연결된 (Connected) 세상, 바로 이것이 궁극적인 소프트웨어 플러스 서비스가 실현된 모습이죠. 결국 그 중심에는 데이터센터가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데이터센터의 오픈은 엄청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거죠.

더욱 관심을 갖고 볼 대목은 Chicago 데이터센터의 1층, 총 면적의 3분의 2 공간은 컨테이너 박스 개념의 조립식 데이터센터로 만들어 졌다는 것입니다. 이 컨테이너 박스는 에너지 사용이 최적화 되어 있어 그린 IT 구현이 가능합니다. 컨테이너 한대에 장착된 서버의 댓수가 1,800대에서 2,500대 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몇 시간 안에 원하는 컴퓨팅 파워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것이죠. 클라우드 컴퓨팅의 무한확장 개념에 딱 들어맞는 데이터센터라고 이야기 할 수 있게 된거죠.

같은 크기의 전통적인 데이터센터보다 10배 이상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고 하니, 세상이 많이 발전했죠?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7. 1. 10:32
2009년 7월 8일(수), 인터콘티넨탈호텔 하모니 볼룸에서 "The Clouds 2009 컨퍼런스" & Cloud Computing Forum이 진행됩니다. 제가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번 행사도 역시 준비위원으로 참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례" 트랙에서 발표를 하게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전략적 의미와 활용방안"이 제목이 될 것 같습니다. 

Public Cloud(공용 클라우드) 사례인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Windows Azure, Azure Services Platform에 대한 소개 및 Demo, Private Cloud(사설 클라우드) 사례인 마이크로소프트 인프라 클라우드 솔루션 (Dynamic Data Center Toolkit)에 대한 Demo 및 소개 위주로 진행할 계획 입니다.

또한, 각 글로벌 벤더의 사업전략 및 기술전략에 대한 부분도 포함할 예정 입니다.

기회가 되시는 분들은 행사장에서 뵈면 좋겠네요.
발표 끝나고 꼭 개별적으로 인사해주세요 ~ 온라인으로 보다가 오프라인으로 만나면 좋잖아요. 그렇죠?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6. 16. 10:28

지금까지 글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서는 많이 정보를 전달한 것 같아요.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이 가지고 있는 이슈,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보안에 대해서는 이야기 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그 부분을 좀 다뤄 볼까요?

보안
1. Logging(로깅) / Auditing(감사)
    - 로깅은 누가, 언제, 어떤 작업을 했는지에 대한 작업 이력을 남기는 것을 의미하죠
    - 감사는 그 남겨진 이력을 가지고, 이상한 짓을 했나 안했나를 추적하는, 감사팀의 역할을 의미합니다.
    * 바로 로깅, 감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해당 시스템은 큰 취약점을 갖게 되죠. 부정한 행위에 대해 증거가 없고
       처벌하지 못한다면, 많은 불법행위가 이루어져 정의사회 구현이 안되는 것과 같은 의미 입니다.

* 제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각 사용자의 행위에 대해 로깅, 감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꼭 챙겨봐야 하는 점이죠.

2. Computer Forensics (감식)
    - 감식, CSI 수사대 등이 혈흔 분석을 하는 등의 과학적 조사 방법을 적용하잖아요.
       파일이 삭제되었거나, 변경되었을 때 여러 고객이 시스템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누가 접근해서 작업을 했는지 등에
       대해 감식할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합니다. 실제 어떤 작업이 컴퓨터 메모리상에 남아 있다가, 사라져서 향후에 사후
       분석 때 원인을 찾아내지 못하는 등의 일들이 벌어지곤 하죠. 클라우드 환경에서 Forensic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진행
       될 수 있을 지 분명히 챙겨봐야 하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후에도 조금씩 더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조이트리
마이크로소프트2009. 6. 5. 17:27



Decision Engine, Bing의 TV 광고 입니다.

검색을 하는 것은 결국 어떤 정보가 필요해서 이고, 그 정보를 통해 무언가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함인데요
결과가 많이 나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 의사결정에 필요한, 진짜 관련된 정보가 제공되느냐가 포인트 겠죠.

지금까지 제가 들은 피드백은 반응이 괜찮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하신가요? 피드백, 커멘트 환영 합니다.

www.bing.com

Posted by 조이트리
아키텍트2009. 6. 5. 14:51
많은 분들이 SOAP 기반의 WS-* 표준을 사용하는 웹서비스와 REST는 서로 상충되는 관계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것 같습니다.

SOAP, REST 프로토콜은 이기종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 웹서비스 개발에 관계되는 것이라는 것 알고 계시죠?
REST는 Ruby on Rails 창시자 David Heinemeier Hansson이 2007년에 Rails 2.0 버전을 내놓으면서 엄청 강조했었습니다.
WS-* 스펙이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기는 쉽지 않겠다는 판단 때문에 그랬던 것 같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상호운용성 관련한 전문가인 Jean Paoli 역시 REST가 훨씬 더 많이 사용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앞의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웹서비스 개발이 REST로만 이루어질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너무 오버죠. 보안 및 안정적인 메시징 등의 용도로 SOAP은 역시 계속 사용될테니까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REST는 웹서비스 개발 시 Windows Communication Foundation(WCF)를 통해 REST, SOAP 등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클라우드 플랫폼인 Azure Storage Service 역시 REST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이 말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웹서비스와 REST 프로토콜을 사용한 타 언어로 만들어진 웹서비스가 상호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이고, Azure Storage Service를 쓸 수 있다는 것이죠. 마이크로소프트의 상호운용성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라는 겁니다.
Posted by 조이트리